[Network][TCP/IP가 보이는 그림책-01][TCP/IP 맛보기][2022-10-03]
[2021년 10월 03일 기준]
[목표]
네트워크 : '정보나 노동력 등 어떤 자산, 자원을 서로 주고 받을 수 있는 상태'
컴퓨터 네트워크 : 컴퓨터끼리 케이블이나 적외선, 전파 등 어떤 수단을 사용하여 연결해 다양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상태
프로토콜 : '컴퓨터끼리 문제없이 (데이터-정보를) 교류할 수 있도록 정해진 규칙'
TCP/IP의 탄생 배경 : 여러 개의 'LAN'을 연결할 수 있는 통일된 프로토콜의 필요, '신호로 변환 => 전달 => 데이터 재변환'의 기본 절차
통신 서비스 : TCP/IP로 구현된 다양한 통신 서비스(WWW, 전자메일, 파일공유, 원격 로그인, 기타)
네트워크 명령의 사용 방법 : ipconfig(Windows), ifconfig | grep inet(MacOS)
-----
[준비물]
Window 컴퓨터
MacOS 컴퓨터
-----
[1-네트워크란?]
사전적 정의로 네트워크(Network)는 '망상 조직' 이나 '망' 이라는 의미로 되어 있으나,
실제 의미는 '정보나 노동력 등 어떤 자산, 자원을 서로 주고받을 수 있는 상태'로 바꿔 말할 수 있다.
컴퓨터 외 분야의 예로 '시민 네트워크'를 보면, 네트워크에 가입된 회원들은 서로간 정보와 자원을 공유하는 활동한다.
이때 이 네트워크 운영에 필요한 규칙이 있고, 이 규칙을 통해서 네트워크에 장애 없이 원활이 운영될 수 있다.
그럼 다시,
'컴퓨터 네트워크'를 보면, 네트워크로 연결된(인터넷 및 내부망 등으로 추후 설명예정) 컴퓨터들간에 정보(데이터)를 주고 받는다.
이때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정보(데이터)를 주고 받는 규칙이 TCP/IP다.
-----
[2-컴퓨터 네트워크]
컴퓨터 네트워크는 컴퓨터끼리 케이블(동축 케이블이나 광섬유 케이블 등)이나
적외선, 전파 등 어떤 수단을 사용하여 연결해 다양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상태를 말한다.
이러한 컴퓨터 네트워크는 연결된 컴퓨터들의 규모에 따라 'LAN', 'WAN', '인터넷'으로 구분할 수 있다.
- 'LAN' : 대학이나 연구소, 기업과 같은 비교적 좁은 공간의 컴퓨터들 끼리만 연결된 네트워크를 'Local Area Network'라고 부르고, 주로 동축 케이블이라는 LAN(ethernet)케이블을 사용하고, 요즘은 케이블 없이 전파나 적외선 등을 이용한 '무선 LAN'을 사용하기도 한다.
- 'WAN' : 지리적으로 떨어진 장소에 있는 기기끼리 연결한 비교적 대규모의 네트워크를 'Wide Area Network' 라고 부르고, 보통 회사의 지점끼리 연결된 형태를 예로 볼 수 있다.
- '인터넷' : 여러 개의 'LAN'이나 'WAN'을 연결한 전 세계 규모의 네트워크를 '인터넷'이라고 부르고, 컴퓨터 뿐만 아니라 휴대전화 등 소형 휴대용 단말기도 인터넷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
[3-프로토콜이란?]
프로토콜을 직역하면 '의정서(서로 다른 국가 간에 교환한 합의 문서)'인데,
이것을 간단히 바꿔 말하면 '국가끼리 문제없이 교류할 수 있도록 정해진 규칙'이라고 할 수 있다.
자~ 그럼 다시, TCP/IP의 정의를 살펴보면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의 하나'로 표현한다.
TCP/IP에서는 위 간단한 표현에서 '국가'를 '기기(컴퓨터)'로 바꾸고 '규칙'을 '절차'로 바꿔 생각하면 된다.
즉, '컴퓨터끼리 문제없이 (데이터-정보를) 교류할 수 있도록 정해진 규칙'을 TCP/IP라고 말할 수 있다.
-----
[4-TCP/IP의 탄생배경]
TCP/IP는 1960년대 미국 국방성이 개발을 지원한 ARPANET이라는 네트워크 상에서 사용할 프로토콜로 개발되다.
초기 ARPANET은 네 개의 LAN을 연결한 것으로 현재 인터넷의 원형이라고 할 수 있다.
과거 컴퓨터 네트워크는 대학이나 기업 등 특정 시설 내에서만 사용하는 'LAN'이 주류였고,
각자 독자적인 프로토콜을 이용했다.
이후, 여러 개의 'LAN'을 연결하는 경우 통일된 프로토콜의 필요성이 대두됬다.
그럼 어떻게 컴퓨터 간 데이터를 주고 받는 지를 고려해보면,
케이블이나 전파, 적외선 등을 사용해서 데이터를 보내야 하는데, 이 모든 데이터를 전기 신호나 광 신호로 변환해야 한다.
그리고 전기 신호를 받은 컴퓨터는 그 신호를 데이터로 재변환하는 절차가 필요하다.
즉, '신호로 변환 => 전달 => 데이터 재변환' 이라는 절차를 기본으로 하여 수행하는 TCP/IP 구조가 생겨난다.
TCP/IP라는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전 세계를 연결한 네트워크가 인터넷이다.
-----
[5-통신서비스]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이용할 수 있는 기능을 '통신 서비스'라고 한다.
TCP/IP로 구현된 다양한 통신 서비스의 예시들은 다음과 같다.
- WWW : 정보의 공유나 검색, 데이터의 다운로드, 인터넷 쇼핑 등이 가능합니다. 웹 서비스라고도 한다.
- 전자메일 : 전 세계 규모의 우편 시스템과 같은 것입니다. 텍스트 문서나 다른 형식의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 파일공유 : 네트워크 상에 공유 공간을 준비하고 파일 주고받기나 동시 편집을 수행할 수 있다.
- 원격 로그인 : 떨어진 곳에 있는 컴퓨터를 다른 컴퓨터에서 조작할 수 있다.
- 기타 (IP 전화, 파일 전송, 넷뉴스)
-----
[6-네트워크 명령의 사용 방법]
Windows에서 명령 프롬프트를 사용해서,
MacOS에서는 터미널을 사용해서,
실제 네트워크 상태를 살펴볼 수 있다.
< Windows 명령 프롬프트 'ipconfig' >

< MacOS 명령 프롬프트 'ifconfig | grep inet' >

-----
[참고자료 : TCP/IP가 보이는 그림책 / 성안단 / ANK Co., Ltd. 저, 이영란 역 / 2017-02-24]
[P.S.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다면, 댓글 남겨주시기 바랍니다.]